스스로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얼마나 충실하게 살고 있는가? 혹은 자신이 처해진 상황을 좋은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서나 자신의 목표를 향해서 얼마만큼 노력을 하는가?
누구나 이런 질문을 받으면 자신있게 무엇무엇이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인생의 반은 성공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토정비결은 지금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어떻게 이끌어가야 하는 것인가?"란
사람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보다 적극적인 인생의 지침서라 볼 수 있다.
자신 스스로 자신의 입장과 진로를 해석하고 갈무리하는 것만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토정비결은 언제 보는 것이 옳은가?
토정비결은 쉽게 괘의 순환이다. 주역과 비슥한 입장이긴 하나 정해진 괘의 순환과 반복이라는 특징이
있다. 자신에 맞는 해(年)의 구분이 있고 이 해의 기운을 가지고 월(月)별로 운을 이끌어 내는
144개의 괘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토정비결은 그 해와 월에 맞추어 본인이 기운을 헤아려 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시기에 보는 경우가 많다. 그 이외에도 일반적이지 않은 꿈을 꾸거나 낯선 상황에 돌입되거나 했을때
월운을 짚어 찾아나서는 경우도 있다.
역학이라는 학문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풀이가 되어 있고 풀이를
월에 맞추어 대입 할 수 있는 장점이 곧 토정비결의 풀이 이다.
한해의 운세를 살피고 월의 운세를 짚어보는 것이 토정비결의 이해이듯 토정비결의 괘는 예컨데
여행이나 이사, 인연, 재물등의 풀이로 쉽게 지적 및 보완 할 부분들을 명시하고 있다.
역학처럼 한번 듣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렇기 때문에 자신(묻는자)은 괘를 살피어 월운을 꼼꼼이
적어두거나 해야 자신의 길을 헤쳐 나가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예로 -10월에 재물이 급상승 하는 운인데도 지나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토정 비결은 그러한 월의 괘를 미리 알려주는 역할을 하여 그 운을 잡거나 혹은 해로운 운을 버리는
부분을 함께 설명해준다.
누구에게는 크나큰 위험이, 또 누구에게는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 들이느냐에 따라
나에게 닥치게 될 올 한 해를 준비해 볼 수 있는 마음의 준비를 세우는 시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토정비결은 절대적 의미가 아니며 집착의 의미 또한 아닌, 나에게 있어서 미래의 발자취일
수 있을 것이다.
농경생활과 토정비결
토정비결이란 이미 널리 알려진 바데로 일년 열두 달의 신수(身數)를 보는 것으로 주역(周易)이라든지
다른 역학(易學)들과 마찬가지로 비교와 은유적인 표현으로 풀이하여 놓은 것인데, 쉽게 이야기해서
한해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점쳐 보고 일년의 계획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좋은일에는 복을 기리고
액운은 피해갈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는 지침서이다.
옛조상들은 한해의 운세 뿐 아니라 농사와 생업 그리고 건강등의 궁금증을 위해 토정비결을 매해
새해벽두에 보곤 했는데 농경사회인 우리나라의 역사를 볼때 한해의 농사가 어떻게 될지 풀어보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한해의 농사로 일년을 먹고사는 농경사회에서 농사가 흉년이 된다면 한가족은 물론이거니와 한나라의
경제까지 위태롭기 때문에 토정비결은 비단 가정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나라에서조차 중요시
여기는 학문이었다.
그래서 농사가 풍년이 되는 괘면 그 복을 누리기 위해 애쓰고 흉년의 점괘가 나오면 여러 제사를
지내고 자연과 조상님 여러 신에게 복을 빌었다
앞에서 말했듯이 토정비결이라는 것이 하늘과 땅을 근거로 하여 만물의 근본이 되는 물과 불 산과
못 천둥과 바람을 연결하여 1년 동안의 운명을 미리 알아보는 것이므로 이는 우리 조상들이 하늘과
땅, 자연을 귀히 여기고 섬겼던 것과 어느정도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은 나무와 물, 하다못해 마을에 있는 바위까지도 영물이라 여기고 소중히 여겼는데
마을 입구에는 그 마을을 지켜주는 장승이 있었고 길을 따라 걷다보면 숲길에 서낭당이 있고 그
마을 가운데에는 마을을 보살피는 오래된 나무가 자리잡고 있는 것을 지금도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이렇듯 자연과 사람을 하나의 존재로 보고 땅에 기어가는 미물 하나까지도 하찮게 여기지 않고 자연을
섬겼던 우리 조상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토정 이지함(李之驪)선생의 일대기를 살펴보아도 이지함 선생은 신을 내림 받아 점을 치는 무당이
아닌 역학과 천문학에 이치가 밝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토정비결이 천문 즉 자연과 하늘,
땅, 물 등의 기반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단순한 예가 아닐까?
토정비결은 단순히 12달의 운세만을 풀어 놓은 단순한 점(占)이 아니라 한나라 문화 속 혹은
경제 속에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는 학문이고 신앙이며 지침서였다. 농경사회가 이미 오래 전에 없어진
현대에서는 더이상 필요 없는 단순한 미신이 되어 버렸지만 심심풀이 운세풀이가 아니더라도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학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